<구글 서치 콘솔 파일 업로드>

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호주워킹홀리데이]호주 쌀 비교 (쌀 고르기 medium grain)

호주 생활

by 000399 2019. 9. 3. 00:31

본문

photo by pixabay

안녕하세요 호주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Why? vin입니다

오늘은 호주 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해요 :)

 

호주에 도착해 집도 구하고 짐도 풀었다면 슬슬 밥도 해먹어야 할 텐데요! 

먼저 앞서 글에서 소개해드렸던 Woolworths나 Coles로 가서 장을 봐야겠죠?

 

쌀 파는 칸에 가면 한국과는 다르게 다양한 종류의 쌀을 보실 수 있을 거예요 그 중 medium grain 미디엄 그레인을 고르시면 한국 쌀과 비슷한 쌀을 고르실 수 있습니다 쌀 브랜드는 sunrice 여기가 제일 유명합니다 호주 마트에서 독점을 하고 있는 듯하네요 그리고 한국 햇반처럼 전자레인지에 간편하게 돌려서 먹을 수 있는 즉석밥도 파는데요 2팩에 2.50불 정도에 팔고 있네요 하지만 게으르신 분이 아니라면 즉석밥보단 밥해서 드시는 걸 추천해드려요 우리나라처럼 돈에 0이 없다 보니 작은 돈 같지만 워홀 생활하는 친구들이라면 한 푼이라도 아끼는 것이 좋을 테니까 말이에요 한두 번 귀찮아서 즉석밥 먹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답니다 물론 저도 그랬고요.. 허허

지금 울월스에서 2kg 미디엄 그레인은 $5불이고 10kg짜리는 $24불에 팔고 있는데 50% 할인할 때도 있으니 그때 쌀을 미리 구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! 그리고 한인마트에서도 한국 쌀을 찾으실 수 있는데요 대신 가격대가 있답니다:(

 

자 그렇다면 기본적인 쌀 종류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:)

 

 

photo by woolworths

01 medium grain - 한국 쌀과 가장 비슷한 모양과 맛을 느끼실 수 있는 쌀입니다 하지만 한국 쌀에 비해 찰기가 적기 때문에 물의 양을 조금 더 넣어주셔야 합니다 

 

02 long grain - 길쭉하고 찰기가 없는 쌀이며 소화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국사람들이 선호하는 쌀은 아닙니다

 

03 brown rice - 현미, medium grain과 섞어서 밥 지어먹으면 잡곡밥이 됩니다 소화흡수도 잘되니 건강을 위해서 흰쌀밥과 같이 지어 드시는 걸 추천합니다!  대신 현미라 조금 오래 불린 후에 지어주세요 

 

04 Jasmine Rice - 재스민 쌀이라고 불리며 향긋한 냄새가 납니다 태국이나 베트남 등지에서 주로 재배가 되고, 한국에선 인 남미라고 불리며 롱 그레인과 비슷한 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

 

그리고 셰어 생활하다 보면 밥 지은 후에 바로바로 비어줘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어떤 집은 마스터가 쌀을 제공해서 밥 솥에 따끈한 밥이 항상 있는 반면 어떤 집은 전기세 나간다고 바로바로 비우라고 하는 마스터도 있고 또는 다른 쉐어생이 밥을 지어야 하기 때문에 밥 지은 후에 비어줘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런 점은 매우 불편하지만 밥을 냉장고에 넣어놨다 먹으면 칼로리가 반이 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?

 

밥을 지은 후 냉장고에 6~12시간 넣어두면 칼로리가 50%~60% 나 감소한다는 것인데요 

이유는 쌀은 수분을 제외하고 90%가 전분으로 되어있는데 이것이 냉장고 안에서 6시간~12시간 동안 있으면서 노화가 되면서 저항 전분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저항 전분은 식이섬유와 비슷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흡수가 잘 안되어 변으로 다 나가고 또한 지방 연소에 도움을 주게 되는데요 그래서 밥을 지은 후에 냉장고에 넣어놨다가 전자레인지에 돌려서 드시면 칼로리가 50%~60% 나 감소된 쌀을 섭취하는 거니 살찔 위험이 줄어들겠죠? 아 그리고 전자레인지에 돌려도 엄청나게 뜨거운 온도가 아니면 파괴되지 않는다고 하니 그 부분은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대신! 냉동실처럼 급냉이 되면 저 성분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니 냉장실에 넣어주시고 그리고 냉장고 안에 너무 뜨거운 음식을 넣으면 냉장고가 설정해 놓은 온도로 돌아가기 위해 전기를 많이 사용하니 꼭 식히신 후에 넣어주시기 바랍니다! 당연한 소리라고 하시겠지만.. 셰어 하다 보면 이런 거 하나 모르는 친구들이 매우 많더라고요 허허.. 

 

 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